협회소식

한-영 해운협회 공동세미나 성료

강민균 | 2025-09-18

한국해운협회는 2025 런던 국제해사주간(London International Shipping Week) 기간 중 916() 런던 카운티홀 웨스트민스터룸에서 영국해운협회(UK Chamber of Shipping)대외환경 변화에 따른 해운업계의 대응이라는 주제로 공동세미나를 개최하였으며, 운 및 연관산업 관계자 약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종료되었다.

세미나에 참석한 김경훈 이사는 환영사를 통해 -중 무역전쟁, 지정학적 긴장 고조, 국제 환경규제 강화,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으로 인해 글로벌 해운을 둘러싼 외부 환경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면서, “글로벌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해운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국가 간의 긴밀한 협력과 정보 공유, 전략적 연대가 중요하다고 전했다.

영국해운협회 Peter Aylott 정책국장은 환영사로 “2회차를 맞이한 한-영 해운협회 공동세미나가 개최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앞으로도 양국간 해운분야 협력이 지속되어 환경규제 강화, -중 무역전쟁 등 해운산업이 직면한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어진 주제발표에서 영국해운협회 Peter Aylott 정책국장은 지정학적 변화와 지속가능성 압력에 대한 영국 해운업계의 대응을 주제로 해운업에 가해지는 누적 압력은 막대하지만, 해운은 결국 적응력을 발휘할 것이라며 국경에서의 불필요한 마찰을 줄이고 기업활동에 과도한 부담을 최소화하며, 넷제로 전환을 뒷받침하는 조화로운 규제 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두 번째 주제 발표를 맡은 김앤장 법률사무소 이재복 변호사는 한국해운 2025년 이슈와 트렌드를 주제로 한국해운업은 환경규제에 따른 친환경 선박 및 연료 전환 과제,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지정학적 위험, 그리고 선원 수급의 구조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 지적했다. 이어 정부와 산업계는 초대형·고효율 선박과 친환경 연료 전환을 동시에 추진해야 하며, 자율운항·AI·IoT 기반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해 운항 효율을 높이고 안전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Peter Aylott를 좌장으로 진행된 패널토의에서 한국선급 이혁인 런던 지부장은 국내 조선산업의 기술력은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온실가스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메탄올, 암모니아 등 대체연료의 안전성 확보가 무엇보다 시급한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Rachel HoylandStephenson Harwood 변호사는 오는 10월 국제해사기구의 온실가스 규제방안인 Net-zero가 최종 채택되더라도 실질적인 탄소감축 효과가 있을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한다고 밝혔다.

HMM 런던지부의 Andrew Allen친환경, 지정학적 규제 등 해운업이 당면하고 있는 위기에 발 빠르게 대응할수록 업계를 선도할 기회가 주어질 것이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한국해운협회 김경훈 이사는 오는 10IMO에서 친환경 규제가 정해질 수도 있으나 메탄올, 암모니아 등 현재까지 거론되는 친환경 연료들도 명확히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많은 선사가 혼란을 겪을 것이 우려된다라고 말하며, “규제는 그에 맞는 기술의 발전과 비슷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추진되어야 하나 현재 IMO 온실가스 감축 방안은 기술보다 앞서 나간 상황으로 특히 친환경연료는 가격이 매우 높아서 이는 곧 화주에게도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국제경제 전반에도 또 다른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한국해운협회와 영국해운협회는 2023MOU 체결을 계기로 매년 한-영 공동세미나를 개최하기로 하였으며, 202410월 한국해사주간 기간 중 부산에서 제1차 한-영 해운협회 공동세미나를 개최하였으며 올해 영국에서 제2차 한-영 해운협회 공동세미나를 개최했다. 양 협회는 앞으로도 양국에서 세미나를 개최할 계획이다.